[5분세계증시] 미 8월 소비자물가지수 충격…코스피 2,410선 후퇴<br />[뉴스프라임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와 우리 증시를 짚어보는 시간 5분 세계 증시입니다.<br /><br />연합인포맥스 정윤교 기자 나와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증시가 어제는 좋았는데 하루 만에 분위기가 반전됐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물가 쇼크에 시장이 출렁였는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미국의 소비자물가 충격에 오늘 우리 시장은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코스피는 전장 대비 1.56% 내린 2천411.42에, 코스닥은 전장보다 1.74% 하락한 782.93에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어제 2.74% 올랐던 코스피는 하루 만에 상승분의 대부분을 반납했고요.<br /><br />장중에는 2천400 선도 깨졌지만, 개인투자자의 매수에 힘입어 낙폭을 줄였습니다.<br /><br />간밤 발표된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 충격으로 투자심리는 급랭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8.3% 오르면서 전문가 전망치였던 8.0%를 크게 웃돌았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6.3% 오르면서 전월치와 예상치를 모두 웃돌았다는 점이 시장에 큰 충격을 줬습니다.<br /><br />물가 공포, 고강도 긴축 우려에 달러 강세도 재개되면서 원달러 환율도 치솟았고 오늘 증시 추락을 부추겼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해외 증시 상황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밤사이 나스닥지수는 물가 충격에 5%나 빠졌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미국의 물가 충격으로 시장 변동성은 극대화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간밤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3.94% 급락했고, S&P500지수는 전장 대비 4.32%, 나스닥지수는 5.16% 폭락하며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S&P500 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한 가운데,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알파벳 등 대형 기술주가 모두 5% 넘게 급락했고, 엔비디아와 메타플랫폼스 주가는 9% 이상 폭락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 지표, 전문가들은 어떻게 분석하고 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먼저 헤드라인 기준으로 보시면 상승률이 두 달 연속 둔화하기는 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추이를 보면, 지난 6월 9.1%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2개월 연속 내림세이긴 합니다.<br /><br />다만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% 내지 7.9%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봤던 시장의 기대에는 찬물을 끼얹었고, 전월 대비로는 0.1% 오르면서 마이너스를 기록하지 않을까 했던 기대도 무너뜨렸습니다.<br /><br />유가는 하락했지만, 주거비나 식품 관련 가격이 높게 나온 영향이었는데요.<br /><br />특히, 문제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였습니다.<br /><br />근원 물가지수 상승률이 높게 나오면서 물가가 생각보다 쉽게 내려오지 않겠다는 공포가 커졌고요.<br /><br />연준은 고강도 긴축 정책을 계속 유지할 수밖에 없겠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역사상 유례없는 울트라스텝 얘기도 나오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그렇습니다.<br /><br />뉴욕 월가에선 연준이 다음 주 FOMC에서 금리를 무려 1%포인트 올리는 울트라 스텝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새로 제시됐습니다.<br /><br />어제까지도 시장은 연준이 이달 금리를 0.75%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에 나설 것이란 시나리오를 기정사실로 여기고 있었는데, 이제는 다음주 FOMC 전까지 자이언트 스텝이냐, 아니면 울트라 스텝이냐를 두고 의견이 갈리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지난 6월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에 따르면 올 연말 기준금리 전망치는 3.4%로 제시됐는데, 지금 골드만삭스, 노무라 등에선 올해 안에 금리가 4%를 넘을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금리가 4%를 넘길 경우 2008년 1월 이후 최고치가 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원달러 환율이 더 치솟을 우려도 있고, 주식 시장 전망은 암울해지고 있겠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오늘 외환 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천390원대로 단숨에 진입했습니다.<br /><br />장중에는 1천395원 50전까지 오르면서 13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요.<br /><br />외환시장에선 당국이 강한 방어 의지를 보여주지 않는다면 환율이 조만간 1천400원대로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증권업계에서도 당분간 고통스러운 시기를 맞이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이 쏟아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앞서 지난주 후반부터 미국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로 시장이 반등했는데, 이제는 모든 가정을 새로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코스피가 조만간 연저점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보고 있고요.<br /><br />장기적으로 보면 내년 초까지 걸쳐서 2,100선도 내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마지막으로 내일 증시 전망과 일정 소개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먼저 오늘 아시아 시장에서 S&P500 선물과 나스닥100 선물은 일제히 강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간밤 뉴욕에서 지수가 크게 밀린 데 따른 기술적 반등으로 풀이되고요.<br /><br />오늘 밤에 지켜보실 지표로는 미국의 8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예정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생산자물가지수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지표 역시 확인하셔야겠고요.<br /><br />이외에는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의 연설이 예정돼 있고, 유럽에선 엘리자베스 맥컬 유럽중앙은행 이사가 연설에 나섭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금까지 5분 세계 증시였습니다.<br /><br />정윤교 기자 잘 들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